안녕하세요. 다양한 상식과 건장 정보를 알려드리는 “상식백과”입니다.
입맛이 없는 계절 겨울이 지나고 낮이 늦어지게 시작하는 봄이 오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창문 넘어 풍경을 보면 점점 짙어지는 초록색 풍경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소소하지만 행복감을 느낄 때가 바로 입맛이 살아나고
행복감을 느낄 때가 바로 맛있는 음식을 먹을 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봄에 입맛을 살려주는 음식들을 한번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째 음식 “주꾸미”
봄에 입맛을 살리는 제철 식재료를 말하면 대부분 사람은 주꾸미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주꾸미는 비타민B2, 철분 그리고 타우린이 풍부하다는 것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주꾸미가 제철인 이유는 바로 봄에 알이 꽉 차 있기 때문입니다.
알이 꽉 차 있는 주꾸미는 영양소가 가장 집약되기 때문입니다.
주꾸미는 직화구이, 알쌈 샤부샤부, 볶음 등으로 해서 드실 수 있습니다.
미스터쭈꾸미 양념쭈꾸미 순한 매운맛 (냉동), 500g, 1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2번째 음식 “ 두릅”
봄나무 하면 생각나는 음식은 두릅이 아닐까요!
어린 시절 어머니께서 봄에 많이 해주신 봄나물 요리가 두릅이었습니다.
두릅을 소재로 하는 반찬이 나오면 이제 봄나물이 나오는 계절이 되었다고 생각하게 되네요.
우리가 먹는 두릅은 두릅나무의 어린 순을 잘라낸 것입니다.
그럼 간단한 두릅을 나물무침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두릅을 밑동을 자른 다음 소금물에 살짝 데친 걸 식혀서
쌈장에 찍어서 먹으면 약간 씁쓸한 맛이 첨가된 특유의 향과 쌈장의 짭조름한 맛의 조화가 기가 막힙니다.
이처럼 두릅은 간단히 데천 먹는 조립법이 영양소 파괴가 더할 구 식재료를 맛을 살리 수 있습니다.
3번째 음식 “ 돌나물
“두릅과 쌍벽을 이루는 봄나물의 대표적인 식재로 하면 돌나물이 생각납니다.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먹는 두릅과 다르게 돌나물은 더욱 간단한 요리법으로
신선한 상태로 초장에 버무려 먹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봄에 새싹 채소보다 돌나물을 넣어서 드시면 정말 톡톡 튀는 식감에 청량감을 맛볼 수 있습니다.
초장에 약간 버무려서 그냥 반찬으로 드셔도 좋고,
아삭 이 고추를 된장에 버무리는 것처럼 된장에 버무려서 드셔도 좋습니다.
봄철에 드셔야 그 특유의 맛이 더 잘 느껴지시니 봄에 꾝 드셔 보시는 것 추천해 드립니다.
4번째 음식 “꼬막”
꼬막은 2월이 제철입니다.
겨울 시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해산물이지만 겨울철에 드셔 보지 못했다면
봄에 한 번 먹어보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꼬막에는 단백질,무기질, 그리고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면 비타민B 함유가 풍부하면
추가로 타우린 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돼 있기 때문에 몸내 해독작용과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등에 큰 도움을 줍니다.
꼬막의 영양소들이 적혈구와 신경세포를 강화해 주고 저혈압에도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꼬막을 영양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흡수하기에 좋은 요리 재료가 마늘입니다.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비타민B1와 결합해 알리티아민이 형성되어 기력 회복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꼬막 조리법으로 삶은 꼬막의 껍데기를 반 떼어내고
위에 조개구이처럼 위에 양념장을 올리는 양념 꼬막 요리가 있습니다.
꼬막을 손질하는 방법으로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소금이나 수세미 등으로 문질러서 꺠끗히게 씻어주시면 좋습니다.
5번째 음식 “ 바지락”
바지락 이용한 요리 중 대표적인 음식은 칼국수, 술 찜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많이들 드시고 계신 텐데요.
꼬막은 2월이 제철이고 봄이 제철의 마지막 시기인 식재료입니다.
바지락은 통조림으로 세계 시장에 수출도 많이 되고 있을 정도로 맛이 좋다고 알려진 효자 수산물입니다.
그리고 한국인 제일 많이 먹는 해산물이 바로 바지락입니다.
다양한 활용도와 맛있는 점뿐만 아니라 양식이 쉬워 생산하기도 좋은 해산물입니다.
바지락은 열량과 지방 함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좋은 해산물입니다.
또한 곡류로 충분히 섭취하기 힘든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철분,크롭,비타민B1등의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돼 있어 빈혈이나 당뇨에 타원 한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바지락과 함께하면 좋은 식재료는 바로 마늘입니다.
마늘과 함께 조리하면 알리티아민을 섭취율을 높이고,
된장과 함께 먹으면 바지락에서 섭취하기 힘든 식 불성 단백질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서
마늘과 된장과 함께 조리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바지락과 쌍벽을 이루는 식재료는 바로 우엉입니다.
우엉이 바지락의 철분 흡수를 저기 하는 효과가 있어 우엉과 함께 요리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6번쨰 음식 “냉이”
3월 하면 생각나는 나물하면 바로 냉이가 생각난 것입니다.
냉이는 채소 중 단백질 함유량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단백질뿐만 아니라 무기질 , 칼슘과 철분이랑 비타민B1,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평소 소화기관이 약하신 분들이 냉이를 자주 섭취하시면 속이 편안해지는 효과를 받는다고 합니다.
냉이는 보통 냉이 나물로 조리해서 먹는 것이 일반적인 조립법입니다.
끓는 물에 살짝 데친 다음 된장이나 초장을 베이스로 양념을 만들어 무쳐서 먹는 것이 일반적인 지만,
입맛이 없을 떄 흰밥에 냉이 나물만 있어도 식욕이 확 살아나는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냉이를 고르실 땐 잎이 색이 파란 것은 물론이고 뿌리가 아직 싱싱하게 살아있는 것을 고르시는 것 추천해 드립니다.
다양한 봄 음식을 통해 입맛을 살리고 건강을 유지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욕을 돋구는 음식 (89) | 2024.04.06 |
---|---|
비오는날 생각나는 따뜻한 음식. (112) | 2024.04.03 |
비타민이 풍부한 과일 베스트! (84) | 2024.03.31 |
계절별 꼭 먹어야 하는 제철 음식! (2) | 2024.03.26 |
흐린날씨 꼭 생각나는 맛있는 음식! (1) | 2024.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