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먹거리

수제비 언제부터 먹기 시작 했을까요

by 상식백과 2025. 4. 10.
728x90
반응형
SMALL

 

 

면사랑 남해멸치 감자수제비, 179g, 6개 - 수제비 | 쿠팡

현재 별점 4.5점, 리뷰 331개를 가진 면사랑 남해멸치 감자수제비, 179g, 6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수제비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
다양한 상식과 건강 정보를 알려드리는
"상식백과"입니다.

수제비는 언제부터 먹기 시작 했을까요.

중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농업기술서인 <제민요술>에

수제비가 '박탁'이라는 이름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선 언제부터 수제비를 먹기

시작했는지 기록이 없어 알 길이 없답니다.


수제비는 반죽한 밀가루를 손으로 얇게 펼쳐

뚝뚝 떼어 넣어 끓인 음식입니다.

여름철에 먹어야 맛있습니다.

서민 음식인 수제비는 이렇게 비가 내리는

장마철이면 더욱 더 생각납니다.

경상도 통영 지방에서는

수제비를 '군둥집'이라고 한답니다.

북한 지역에서는 '뜨더국'이라고 부른답니다.

이와 비슷한 음식으로는 닭 육수에 밀수제비를

넣어 끓인 황해도의 '또덕제비', 메밀가루를

익반죽하여 멸치장국에 미역과 함께 끓여낸

제주도의 '메밀저배기'도 있습니다.


애호박과 조갯살을 넣어 끓여낸

수제비 한 그릇이 생각나는 요즘입니다.

비오는 날은 수제비가 썩 잘 어울리는 메뉴지요.

그래서 찾아갔습니다.

강진 월출산 자락에 있는 찻집 다향산방입니다.

이곳은 아이러니하게도 차보다 수제비가 더 유명합니다.

알음알음 알려져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지 오래지요.

어스름 해질녘 마을에서 개 짖는 소리가 간간이 들려옵니다.

병풍처럼 둘러싸인 월출산을 배경으로

지어진 찻집은 볼수록 정겹습니다.

찻집 곁에는 이 한영 생가가 있습니다.

차의 신, 다선으로 추앙되었던 이 한영 선생(1968~1956)은

다산 정약용과 초의선사로부터

시작되는 우리나라 차 역사의 맥을 잇는 다인입니다.


손반죽으로 만든 수제비랍니다.

다시마와 바지락으로 육수를 내 그 맛이 정말 좋습니다.

고려청자에 담아내 기품 있어 보입니다.

죽순과 쑥갓 부추를 액젓에 버무려낸

죽순나물은 압권입니다. 상추 물김치도 상큼합니다.

비 한 그릇에 음식 먹는 즐거움이 넘쳐납니다.

이내 마음마저 행복하게 해줍니다.


명품차도 있습니다.

백운옥판차, 국화차, 생강차 등 직접 이곳에서

덖어 만든 자연차 한잔에 4천원으로 커피에 비하면

이 또한 무지 착한 가격입니다.

월출산을 품은 찻집에서 맛본 수제비와

차 한 잔에 답답했던 가슴이 시원스레 뚫립니다.

은은한 자연의 맛과 어머니의 손맛이 가득합니다. 

 

출처: 오마이뉴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