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먹거리

여름 보양식 매운탕 이야기!

by 상식백과 2025. 6. 24.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다양한 상식과 건강 정보를 알려드리는
"상식백과"입니다.

 

 

미소프레쉬 6컵 푸짐한 대구탕 밀키트 3~4인분, 1.225kg, 1개 - 즉석찌개/탕 | 쿠팡

현재 별점 4.5점, 리뷰 17670개를 가진 미소프레쉬 6컵 푸짐한 대구탕 밀키트 3~4인분, 1.225kg,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즉석찌개/탕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한국인은 음식을 먹을 때

포크나 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 같은 문화권에 속하는

중국이나 일본이 젓가락을 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우리는 숟가락을 함께 사용합니다.

숟가락을 즐겨 사용하는

까닭은 우리가 찌개나 국을 좋아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국은 찌개보다 물이 많고,

찌개는 탕보다 된장 고추장 등이 많이 들어가며,

탕은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습니다.

그러므로 탕(湯)이란 ‘건더기가 많은 국 ’이라 이를 것입니다.


임진왜란(1592년) 때 일본서 고추가 들어와

한국 음식의 패러다임에 변화가 일어나

우리네 탕이 빨간 색깔로 바뀐니다.

설렁탕과 곰탕은 견뎌냈으나

빨간 색깔의 평양냉면 육개장 매운탕 쪽은

고춧가루의 파상공격에 버텨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색깔도 그렇지만 특히 맛이 상당히 맵기 때문에

이름이 ‘매운탕’입니다.

우리는 주로 여름철에 이 음식을 즐깁니다.

여름철이면 땀을 흘려가면서 매운탕을

먹으니 무더위에 지친 원기 보충은 물론 이열치열을

만끽할 최적의 음식으로 이보다 좋은 것이 없을 정도입니다.


한 때 조선의 선비들 사이에 소 염통구이인

‘우심적(牛心炙)’이 최고 인기였습니다.

중국 진나라 주의와 왕희지, 송나라 태조와

보의 우정을 상징하는 음식이어서

선비들의 지적 허영심을 자극하는

음식이었기 때문입니다.

진나라 장한이 고향의 순챗국과

농어회를 먹으려고 고향으로

돌아갔다는 이야기에 나오는

순채 나물도 사대부들의

시에 즐겨 등장한 식재료였습니다.

선비들이 이런 고급 취향에 빠져 있을 때,

서민들은 뚝배기나 작은 냄비에

물을 바특하게 혹은 자작하게,

아니면 고기 생선 채소 등이 푹 잠기게

물을 듬뿍 붓고 장시간 끓여내 먹었으니,

이런 것이 우리네 이른바 그 ‘탕 문화’입니다.


매운탕은 맛도 맛이지만 설렁탕, 곰탕, 육개장,

평양냉면과 더불어 역사적 내력을 보유한

한국음식의 자산입니다.

설렁탕 곰탕과 비교해 영양학적으로

훨씬 균형 있는 웰빙 탕반이라는

확실한 차별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매운탕은 보존 계승해야 할

한국의 탕반 음식이라 해도 좋습니다.

매운탕은 민물고기나 바닷물고기

어느 것을 써도 좋지만, 맛으로 따지면

메기, 쏘가리, 황쏘가리를 제일로 찹니다.

바다생선 매운탕으로 생태매운탕, 동태매운탕,

대구매운탕, 우럭매운탕, 삼숙이매운탕, 아귀탕 등이 그만입니다.


그러나 ‘어름치매운탕’이니, ‘열목어매운탕’이니

하는 소리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환경부가 특정보호어종으로 지정해 허가 없이 이를

채취 포획 가공 유통할 수 없도록 한 어름치와

열목어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파는 행위는 명백한 위법입니다.

이를 피해 가벼이 추어탕이나 꾹저구탕으로 더위를 달래길.

출처 : 강원도민일보

728x90
반응형
LIST